//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출판물

단행본
  • 유라시아 지역의 문화 혼종성과 상호 문화주의
  • 저자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 출판사 | 민속원
  • 쪽수 | 288쪽
  • 발행일 | 2021년 12월 30일
    • 제1부 근대시기 유라시아 역사 · 문화 혼종성과 상호문화주의 : 유라시아 정체성의 현상과 그 형성 과정


      1장 몽골 제국과 포스트 몽골 시기 중앙아시아와킵차크 초원에서의 투르크 정체성_ 이주엽 · 최하늘 옮김
      01. 투르크 정체성의 기원과 전파
      02. 돌궐 정체성의 부상과 소멸
      03. 이슬람 세계에서의 투르크 정체성의 확산
      04. 몽골 제국기와 포스트 몽골 시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 정체성
      05. 무슬림 저자들의 투르크와 몽골 동일시
      06. 몽골 제국과 그 후계 국가들의 투르크 정체성 수용
      07. 몽골 제국과 포스트 몽골 시대 중앙아시아 몽골 후예들이 지녔던투르크 정체성의 성격
      08. 포스트 몽골 시대 중앙아시아의 칭기스조와 티무르조의 몽골 정체성
      09. 킵차크 초원의 몽골 후예들이 지녔던 ‘투르크’ 정체성
      10. 투르크 정체성의 부재
      11. 신조치 집단들(Neo-Jochid Groups)의 몽골 정체성
      12. 연구사
      13. 1차 사료


      2장 북카프카스 소수민족의 ‘피의 복수’_ 정세진
      : 용서와 화해의 변증적 방식을 중심으로
      1. 서론
      2. 북카프카스 피의 복수 관습
      3. 피의 복수의 적용과 범위, 그리고 그 실제적인 사례
      4. 피의 복수의 반 정향성 : 용서와 화해의 변증
      5. 결론


      3장 19세기 중후반 러시아 제국의 인도 침공 계획에 관한 소고_ 이정하
      1. 서론
      2. 7년전쟁 이후 러시아 제국의 전략
      3. 크림전쟁 이후 러시아 제국의 전략적 취약성
      4. 인도 침공에 관한 몇몇 계획들
      5. 결론


      4장 제정 말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역에서소수민족 교육정책과 조선인-이주민의 교육 활동_ 양승조
      1. 서론
      2. 러시아 극동지역의 이주 상황과러시아 제국 정부의 조선인-이주민 인식
      3. 제정 러시아 교육정책에서 국가와 정교회의 관계
      4. 러시아 국가와 정교회의 소수민족 교육정책과조선인-이주민의 교육 활동
      5. 결론



      제2부 근현대시기 유라시아 문화 혼종성의 정립과상호문화주의의 정체성 특성


      5장 소비에트 러시아 공공외교의 기원_ 신보람
      : 1921~1922년 러시아 대기근과 소연방대외문화교류협회의 탄생
      1. 서론
      2. 1921~1922년 러시아 대기근과 프로파간다
      3. 1922년 베를린 러시아 미술전 : 소비에트 문화외교의 시작
      4. 소연방대외문화교류협회(ВОКС)의 탄생
      5. 결론


      6장 라브렌찌 송의 <약속의 땅>에 반영된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집단기억과정치 · 문화사적 재현 메커니즘_ 박영은
      1. 서론
      2. 라브렌찌 송이 재현한 강제이주 트라우마의 예술적 재구성
      3. 라브렌찌 송의 <약속의 땅>에서 부각되는 소수민족 테마
      4. ‘아바이 쿠난바예프’의 형상을 통한카자흐스탄 정부에 대한 정치 · 사회적 반향
      5. 결론


      7장 ‘사비츠키 국립박물관’에 관한 소고_ 심지은
      : 러시아 문화와 우즈베키스탄 문화 사이에서
      1. 서론
      2. 사비츠키 박물관과 ‘사막의 기적’ 신화
      3. ‘사막의 기적’을 위한 기만
      4. 투르키스탄 아방가르드와 오리엔탈리즘
      5. 결론


      8장 모방과 창조, 주체와 타자 사이에서_ 황기은
      : 알렉세이 K. 톨스토이의 『부르달락 가족』을 중심으로
      1. 서론
      2. 문화의 혼종성 : 모방과 창조
      3. 뱀파이어 계보 : 문학적 뱀파이어와 부르달락
      4. 『부르달락 가족』 : 모방과 전복으로서의 뱀파이어 내러티브
      5. 분신과 괴물 사이 : 러시아 지식인의 딜레마
      6. 결론
      유라시아 혼종성 형성의 역사적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러시아 · 중앙아시아 · 카프카스 민족들의 역사와 문명에서 나타나는 문화 혼종성을 고찰하다



      본 저서는 유라시아 혼종성 형성의 역사적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러시아 · 중앙아시아 · 카프카스 민족들의 역사와 문명에서 나타나는 문화 혼종성을 고찰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유라시아 각 민족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명의 소통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유라시아 제 민족의 씨족, 종족 문화 체계와 공동체성, 민족 정체성, 그리고 그에 따른 혼종성을 탐색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유라시아의 핵심적인 지역 개념이 정립되고 이를 문화 혼종성과 상호 문화주의의 관점에서 개념 정의가 시도되었다. 변경으로 치부된 유라시아를 단순히 중심의 위치로 전이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존을 직시하는 새로운 전망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문화 상호주의 개념에는 문화 다양성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문화 다양성이 가져오는 문화 혼종에 대한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차원에서 국가 간, 민족 간 펼쳐지는 공공 영역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이 서로 섞여 교류하며 생산적이고 창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그 실천적 역량이 탄생된다.
      | 저자약력(게재순) |

      이주엽 : 토론토대학교 중근동학과 강사
      최하늘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과정
      정세진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이정하 : 서울대학교 강사
      양승조 : 숭실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신보람 : 전북대 국제인문 사회학부 조교수
      박영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심지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황기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TOP

    로그인 후 이용해주세요.